본문 바로가기

문학2

모죽지랑가(향가, 득오) 살피기 모죽지랑가(득오) [현대어 풀이] 간 봄 몯 오리매 모ᄃᆞᆯ 기ᅀᅳ샤 우롤 이 시름 ᄆᆞᄃᆞᆷ곳 ᄇᆞᆯ기시온 즈ᅀᅵ ᄒᆡ 혜나ᅀᅡᆷ 헐니져. 누늬 도랄 업시 뎌옷 맛보기 엇디 일오아리. 낭(郞)이여 그릴 ᄆᆞᅀᆞᄆᆡ 즛 녀올 길 다복쑥 굴헝ᄒᆡ 잘 밤 이샤리 [현대어 풀이] 지나간 봄 돌아오지 못하니 살아 계시지 못하여 울어 말라 버릴 이 시름 전각(殿閣)을 밝히오신 모습이 해가 갈수록 헐어 가도다. 눈의 돌음 없이 저를 만나 보기 어찌 이루리. 낭 그리는 마음의 모습이 가는 길 다복 굴헝에 잘 밤 있으리. 1. 관련 설화 삼국유사에 실린 설화에는 죽지랑과 득오의 일화를 소개하며 득오가 왜 죽지랑을 사모하고 그리워하는 노래를 지었는지 제시하고 있다. 설화 속 이야기를 간략히 요약하면 두 부분으로 나눌 수.. 2023. 1. 8.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 김수영 * 부정적 현실 상황을 드러내는 시구 * 대비되는 상황을 통한 화자의 태도 * 자조적 표현을 통한 효과 * 표현상의 특징 1. 개관 - 이 시는 부정부패로 가득한 권력 구조 속에서 자유와 정의가 상실된 사회를 살아가는 시인이 적극적인 저항과 비판을 하지 못하는 심정을 형상화하고 있다. 2. 작품 감상 : 조그만 일에 분개하는 나 * 왜 나는 조그마한 일에만 분개하는가 -> 사소한 일(비본질적인 것)에만 집착하는 자신의 모습 반성 -> 권력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소시민에 대한 반성 * 저 왕궁 대신에 왕궁의 음탕 대신에 -> 왕궁 : 권력자들이 사는 곳 -> 왕궁의 음탕 : 본질적인 문제, 정부의 탐욕, 부조리, 모순 * 50원짜리 갈비가 기름 덩어리만 나왔다고 분개하고 -> 50원짜리 갈비 : 비본질적인.. 2022.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