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문학2

모죽지랑가(향가, 득오) 살피기 모죽지랑가(득오) [현대어 풀이] 간 봄 몯 오리매 모ᄃᆞᆯ 기ᅀᅳ샤 우롤 이 시름 ᄆᆞᄃᆞᆷ곳 ᄇᆞᆯ기시온 즈ᅀᅵ ᄒᆡ 혜나ᅀᅡᆷ 헐니져. 누늬 도랄 업시 뎌옷 맛보기 엇디 일오아리. 낭(郞)이여 그릴 ᄆᆞᅀᆞᄆᆡ 즛 녀올 길 다복쑥 굴헝ᄒᆡ 잘 밤 이샤리 [현대어 풀이] 지나간 봄 돌아오지 못하니 살아 계시지 못하여 울어 말라 버릴 이 시름 전각(殿閣)을 밝히오신 모습이 해가 갈수록 헐어 가도다. 눈의 돌음 없이 저를 만나 보기 어찌 이루리. 낭 그리는 마음의 모습이 가는 길 다복 굴헝에 잘 밤 있으리. 1. 관련 설화 삼국유사에 실린 설화에는 죽지랑과 득오의 일화를 소개하며 득오가 왜 죽지랑을 사모하고 그리워하는 노래를 지었는지 제시하고 있다. 설화 속 이야기를 간략히 요약하면 두 부분으로 나눌 수.. 2023. 1. 8.
고전시가의 전체 흐름(갈래에 따른 특징 요약) 고전시가의 갈래별 특징을 요약하여 정리한 자료입니다. 개별 작품을 공부하기 전에 반드시 고전 문학사의 큰 흐름 속에서 갈래가 가진 성격을 파악해야 작품이 가진 온전한 가치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고 대 가 요 1. 출제 요소 * 고대가요 문학사적 의의 * 주요 작품의 내용, 형식적 특징 2. 반드시 정리해야 할 작품 1) 공무도하가 2) 황조가 3) 구지가 4) 정읍사(고려가요로 보기도 함) 3. 고대가요에서 반드시 정리해야 할 개념 1) 고전 문학사에서 '고대'의 범위 -> 고구려, 백제, 신라와 같은 국가들이 정립되기 직전까지의 시기 2) 원시종합예술 -> 국가 구성원 단합을 위해 열린 의식에서 사용되는 노래, 춤, 이야기 3) 구비문학 -> 우리 문자가 없어 구비 전승되다가 한문으로 번역된 형태로 .. 2023.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