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리뷰

"투자란 무엇인가(하워드 막스)" - 3. 가치란 무엇인가?

김뚱2 2022. 11. 22. 21:26

 3챕터에서는 기업의 내재 가치와 가격의 관계를 중심으로 투자 매입 시기를 현명하게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먼저 기본적 분석에 근거한 두 가치 투자 철학인 가치 투자와 성장 투자의 개념과 특징을 소개하고, 이 중 작가가 지향하는 성공적 가치 투자를 위해  투자자가 가져야 할 필수적 원칙을 설명합니다. 

 

1. 비싸게 사서 쌀 때 팔아라

"내재가치를 바탕으로 싼 가격을 결정하라" 는 대원칙을 지킨다. 이 때 내재가치가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투자의 유형에는 기본적 분석 (미래의 내재 가치를 분석)과 기술적 분석 (증권가격의 동향 분석)이 있는데 과거의 주가 패턴을 파악하는 기술적 분석은 성공적 투자를 위한 부수적 수단으로 사용될 뿐 목적이 될 수 없다고 본다.  

기술적 분석의 일종인 모멘텀 투자 또한, 상승 중인 것은 계속 상승함을 전제로 주가 분석하는데 적기에 매도할 수 있는 타이밍을 마련할 수 없다는 점이 한계로 작용한다. 

 

따라서 기본적 분석에 의한 투자를 지향하고 있는데, 이는 두 가지 투자 철학으로 나뉜다. 

가치 투자: 내재가치보다 싼 가격에 투자 결정

성장 투자 : 미래의 내재가치가 현재보다 더 높을 것이라고 예측될 때 투자 결정

이 때,  내재가치에 대한 명확한 분석과 판단이 가장 중요하다. 

 

2. 내재 가치란?

자산은 기업의 확인 가능한 유형의 가치 

내재 가치를 확인할 때는 기업의 이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바탕으로 내재 가치 확인

가치 투자에서는 유형 자산을 중시한다. 기업의 자원, 공장, 소득, 현금 유동성 창출 능력, 현금 운전, 배당금, 등의 재무지표를 바탕으로 가격과 내재가치의 괴리가 발생할 때 투자를 고려하는 것이다. 기업의 현재 가치를 중시한다.

반면, 성장 투자에서는 장밋빛 미래를 가친 기업 포착한다. 미래 가치를 중시하므노 현재 가치가 현재 가격에 비해 낮더라도 매수할 수 있다.

 

3. 중도

 한 기업의 현재가치를 규명하려면 미래 발전 가능성을 고려하기 때문에 가치와 성장의 극명한 분리는 없으며 둘 다 미래 가치를 염두해 둔다. 따라서 성장 투자는 미래 가치에 주목하는 것이고, 가치 투자는 현재 가치에 주목하지만 미래 성장 가능성에 대한 고려도 더한다. 성장 투자는 미래 상승 가능성에 투자하는 것이므로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수익은 드라마틱하다. 가치 투자는 성장 투자보다 지속적 수익이 가능하고, 저자의 투자 방향과 일치한다. 

 

 투자자는 자산의 가치에 대해 옳은 판단을 하는 것과 자산의 가치보다 싸게 살 수 있기를 바라지만, 당장 내일부터 돈을 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1달러 짜리를 50센트에 산 다음 잘 샀다고 만족하면 된다. 계속되는 불황 속에 손실을 볼 수도 있다.

시장에서는 상품의 가격이 오를수록 수요가 줄고, 원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투자 세계에서 이러한 마음을 먹는 것이 쉽지 않다. 옳은 것은 내가 아니고 시장이지 않을까? 에 대한 생각이 싼 가격에 매도하는 일을 발생시킨다. 

 

4. 현명한 가치 투자 원칙

신념과 정확한 판단이 함께 해야 성공할 수 있다.

내재가치에 대한 자신만의 견해를 가질 것,

끝까지 견해를 고수할 것,

 

가격 하락이 오더라도 살 것.

 

이 때 자신의 견해가 옳은지 확인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