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리뷰

투자에 대한 생각 (하워드 막스) - 2. 시장의 효율성을 이해하라

김뚱2 2022. 11. 21. 10:28

 

1. 개 관

 오늘은 하워드 막스의 저서 '투자에 대한 생각' 두 번째 챕터를 읽고, 저자의 생각을 이해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저자는 이번 챕터에서 시카고 학파를 소개하며 이 이론의 핵심인 효율적 시장 가설이 가진 특징과 한계를 명확히 짚어 냅니다. 시장 가격과 내재 가치의 왜곡이 발생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내재 가치에 비해 시장 가격이 매우 낮게 책정이 될 때 투자 기회가 생긴다고 봅니다. 이 때, 주의해야 할 점은 2차적 사고, 즉 통찰과 치밀한 정보 접근의 노력을 통해 내재 가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지를 확인해야만 손실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2. 내용 분석

1) 1960년대 시카고 학파 이론 중 '효율적 시장 가설'

 시장의 많은 참가자들은 모두 균등하게 접근하여 투자 수익을 얻기 위한 노력과 열정을 아끼지 않는다. 그리하여 투자 정보를 균등하게 습득해 이를 시장에 반영하므로 자산 가격과 기업의 내재가치가 공정하고 적절하게 매겨진다.

 

2) 시장의 효율적 가설에 대한 작가의 의견

 저자는 시장의 효율성 가설에 대한 한계점을 인식하고 있다. 시카고 학파는 시장을 현명한 투자자들의 열정과 노력으로 구성된 유기적 공간이므로 투자자들은 시장을 이길 수 없다고 본다. 그러나 시장이 항상 옳지 않다는 사례는 기업 주가의 극심한 변동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저자는 시장의 효율성에 대해 일부 공감하면서도, 시장이 항상 옳다는 의견에는 반기를 들어 투자자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시장 효율적 가설에 어울리는 자산군은 존재하고, 이러한 자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한다면 자산 가격이 내재 가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시장 효율적 가설에 어울리는 자산군은 시장의 실수가 없는 가격대를 유지하기에 장점이 확실하고 이해하기도 쉽다.

 

 한편, 시장의 비효율성이 존재하는 자산군은, 수익을 열망하는 사람들은 비슷한 정보를 공유하기에 더 큰 수익을 얻는 방법은 현재 사실과 미래에 대한 전망을 바탕으로 2차적 사고를 활용해야 한다.

 

* 2차적 사고의 활용 예

- 누구나 다 아는 내용 아닌가?

- 왜 저가에 많은 사람들이 매수하지 않는가?

- 매각하는 사람들의 이유에 대해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가?

- 저가 매수의 기회가 왔음에도 사람들이 안 사는 이유가 있지 않을까?

- 자산 매도자보다 자산에 대한 정보를 누구보다 확실히 알고 있는가?

 

* 시장의 비효율성

- 투자자는 시장을 이길 수 없다는 믿음에 대한 반기로 작용

- 시장이 비효율적이라는 말 = 시장이 실수할 수 있다는 말

 

* 시장의 실수는 어디에서 오는가

- 시장 가격이 항상 옳을 수는 없다

- 객관성이 부족하다. 인간은 단순한 계산기가 아니다. 탐욕, 공포, 시기 등의 감정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수가 존재한다. 투자자는 어떠한 자산이라도 그것을 소유하고 공매도할 수 있지만 현실은 다르다. 통찰을 가진 자만 왜곡된 가격을 바로잡을 수 있다. 정보접근, 통찰, 기술을 통해 왜곡된 시장에서 수익을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