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리뷰

투자에 대한 생각 -하워드 막스 , 책 리뷰 <1>

김뚱2 2022. 9. 5. 23:17

  주식 투자에 대한 여러 정보들을 접하며, 투자 공부를 하고 있지만, 이게 맞는 길일까에 대한 막연함과 불안함이 자주 듭니다. 그럼에도 한 발 한 발 느리더라도 평생 배워나가겠다는 마음으로 오늘도 책을 읽으며 내 마음 속 투자 지도를 그려나가려 합니다. 이제 시작이라는 생각으로 오늘부터 읽는 책은 요약하며 글로 옮겨 봅니다.

 

 <가장 중요한 원칙 1 -심층적으로 생각하라>

 

  작가는 투자는 과학보다 예술에 가깝다고 말합니다. 즉 직관적이고 유연한 속성을 갖추고 있어 이에 적합한 투자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입니다. 불변의 과학 법칙 같은 투자 전략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한 때의 성공 확률이 높았던 투자 전략이라 하더라도 이 전략이 시장에 널리 알려지는 순간 너도나도 사용하기 때문에 이익의 파이가 잘게 나누어지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기에 새로운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래서 투자에 필요한 역량은 과학적 역량과는 다르다고 합니다.

 

  성공하는 투자자들은 시장을 이기는 수익을 얻고 싶어합니다. 이를 위해 운, 통찰력 중 하나는 필요한데, 작가는 이 가운데 통찰력을 기르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통찰력은 선천적으로 존재하지만 노력으로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왜 통찰력인가? 작가는 이렇게 말합니다. 사람들은 이윤 추구가 동기가 되어 노력하게 되고,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투자 경쟁이 치열해지게 됩니다. 경쟁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투자자 중 일부만이 투자에서 성공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남들보다 한 발 앞선 생각, 더 넓고 깊은 생각으로 시장의 우위를 선점해야 하는데 그것이 통찰력 또는 2차적 사고, 직관, 심리 현상 분석력이고 절대적으로 필요한 능력이라고 강조합니다.

 

< 2차적 사고 >

* 결정을 내릴 때 계산할 생각

1) 예측 가능한 결과는 어느 정도이며, 그 중 가장 확률이 높은 결과는?

2) 시장의 예측과 내 예측은 어떻게 다르나?

3) 자산의 현재 가격은 시장이 예측하는 미래 가격에 비해 적정한가

4) 가격에 반영된 시장 심리가 낙관적인가, 비관적인가

 

* 투자를 단순화하려는 생각을 버리자!

1) 투자자 집단이 곧 시장이므로 자신이 상위 절반에 들어갈 수 있는 근거가 있는지 확인!

2) 시장의 예측을 뛰어넘는 시각을 가지고 있는가

3) 독특함이 투자의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되겠지만, 투자에 꼭 필요한 전략임을 명심하자!

 

* 2차적 사고의 사례

1) 좋은 회사긴 하지만 모두가 과대 평가하고 있어 고평가 되어 있어 팔자!

2) 시장 전망이 어두워 모두가 패닉 상태에서 주식을 팔고 있어 사자!